양혜규 두 개의 프레젠테이션... ‘의사擬似-합법’, ‘황홀망恍惚網’
정당성에 대한 의문과 서사하는 정신적 물질로서의 삶에 대한 해석
2022년 8월 30일(화)부터 10월 2일(일)까지 국제갤러리 부산과 서울 한옥 뷰잉룸에서 동시에 선보여
편집부
woodplanet@naver.com | 2022-08-30 11:27:30
국제갤러리는 8월 30일부터 10월 2일까지 양혜규 작가의 두 프레젠테이션을 부산과 서울에서 동시에 선보인다.
부산점에서는 《의사擬似-합법》이라는 제목으로, 서울점의 한옥 뷰잉룸에서는 지난해 여름 K1에서 최초로 공개한 바 있는 <황홀망恍惚網>의 연장선에서 두 개의 프레젠테이션이 각각 펼쳐진다.
《의사擬似-합법》의 중심에는 양혜규 작가의 대표적 작품 <솔 르윗 뒤집기>가 있다. 미니멀리즘 대표 작가 솔 르윗(1928-2007)의 원작을 블라인드로 해석하되, 한 변이 70cm(천장에 내려 걸린 형태) 혹은 50cm(벽에 고정된 형태)가 되도록 크기를 확장 혹은 축소하고 거꾸로 뒤집어 매다는 것이 이 연작의 속성이자 제작 법칙이다.
작가는 서구적 롤모델인 현대미술 거장의 작업과 업적을 기리면서도, 이미 확보된 그들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이에 단순한 언급과 답습, 모방을 지양하고 보다 고유한 방법론을 모색하기 위해 ‘의사quasi擬似’라는 개념을 도입한다. 특히 2016-17년에 진행된 《의사擬似-이교적 미니멀》, 《의사擬似-이교적 연쇄》,《의사擬似-이교적 모던》,《의사擬似-ESP》 등의 전시와 프로젝트를 통해 이 개념을 본격적으로 고찰하며 사유를 확장해왔다.
《의사擬似-합법》의 유사 색의 개념적인 활용 뒤에는 문화 패권주의적인 서구 규범의 틀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작가의 적극적인 노력, 즉 의도적으로 가짜 혹은 반半합법적인 길을 선택하여 우리의 의식을 자극하고자 하는 의지가 숨어 있다. 네 점의 〈솔 르윗 뒤집기〉 외에도 〈평창길 열두 불기운>,〈래커 회화〉 연작과 방울로 제작된 소리 나는 조각 연작이 이번 프레젠테이션에 포함된다.
한편 국제갤러리 서울점에 새로 개관한 한옥 뷰잉룸에서는 양혜규의 <황홀망恍惚網〉연작을 선보인다. 지난 2020년부터 연구 및 제작에 착수하여 지난해 8월 국제갤러리 K1에서 최초 공개된 바 있는 <황홀망〉 연작은 이후 유럽 전시를 통해 꾸준히 소개되고 있다.
문양이나 장식이 자주 등장하는 공예적인 전통에 꾸준히 주목해 온 작가는 <황홀망>에서 평평한 종이를 단순한 재현적 재료 이상으로, 삶을 서사하는 정신적 물질로 상정한다. 이번 프레젠테이션에서는 매주 두세 점씩 교체하는 방식으로 5주간 총 18점을 선보인다.
또한 2023년과 2024년에도 주요 미술관 전시가 예정되어 있다. 2023년 1월에는 브라질 상파울루 피나코테카Pinacoteca de Sã Paulo에서, 4월경에는 벨기에 겐트 S.M.A.K.에서 각각 개인전이 예정되어 있다. 2024년 영국 런던 헤이워드 갤러리Hayward Gallery에서 선보일 개인전은 순회전으로 기획될 예정이다.
한편 최근에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동시대 시각 문화 박물관 M+가 양혜규의 작업 <소리 나는 구명 동아줄>(2021-2022)의 소장을 결정했다.
[ⓒ 우드플래닛.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