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9, 한지교류세미나에서 복원·예술·건축 등 다양한 분야의 한지 활용가능성 제시
오는 9월 4일부터 8일까지 세계 최대 규모 디자인박람회 <파리 메종&오브제> 한지홍보관에서 《한지, 순환의 표상》 전시가 열린다.
또한 9월 9일에는 주프랑스한국문화원과 공동으로 《일상의 유산, 한지》 세미나를 개최한다. 총 4명의 연사가 참여하여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한지의 전통과 현재, 그리고 무한한 미래가능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세미나에서는 간송미술문화재단 유물관리팀 이선형 팀장과 국민대학교 김미정 교수가 ‘전통한지 제작과정과 유물복원 사례’를 발표한다. 김 교수는 영국 대영박물관 히라야마 스튜디오에서 보존전문가로 활동하며, 140년간 보관되어 있던 조선시대 회화를 복원해 전시로 선보인 바 있다. 이어 참우리건설 김원천 소장은 ‘생활공간 속 함께하는 한지’를 주제로, 한옥부터 현대 건축까지 우리 일상 속에서 함께해 온 한지를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프랑스 사진가 장-샤를 구트네(Jean Charles Gutner)는 한국 전통한지에 작품을 프린트하는 자신의 작업을 중심으로, 한지의 예술적 확장과 활용가능성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한지(韓紙)는 닥나무 껍질을 주원료로 전통방식으로 제작되는 한국고유의 종이로, 통기성과 습도 조절기능이 뛰어나 ‘살아 숨 쉬는 종이’라 불린다. 섬유질의 독특한 물성과 결이 있는 매끄러움 덕분에 예로부터 시·서·화의 주요 재료로 사용되어 왔으며, 오늘날에는 그 고유성을 살려 현대 조형예술의 표현재료로도 주목받고 있다.
공진원 장동광 원장은 “2026년 한지문화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기원하며, 이번 행사가 한지의 우수성과 무한한 가능성을 공유하는 뜻깊은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우드플래닛.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