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 ‘로에베 공예상’ 결선 30작품, 서울공예박물관에서 7월 선보여

공예 / 유재형 기자 / 2022-02-21 19:55:40
서울공예박물관-스페인 로에베(Loewe) 재단 협력전
3천 명 넘는 참가자 중 파이널리스트에 선정된 세계 공예작가 30인 작품 한 자리에 선보여
도자‧섬유‧가죽 등 국내 작가 역대 최다 7명 선정...한국 공예 높아진 위상 입증
최종 우승자는 개막 하루 전인 6.30 발표
세계 공예의 흐름 읽을 수는 국제공예전
▲  수상작가 정명택의 덤벙주초

 

스페인 ‘로에베 재단 공예상’(Loewe Craft Prize) 결선에 선정된 세계적 공예작품이 7월 1∼31일 서울공예박물관에서 열린다.

로에베 공예상은 스페인을 대표하는 패션 브랜드인 로에베가 주관하는 로에베 재단이 2017년 제정됐다.

나단 앤더슨 크리에이티브 디렉터가 고안한 이 대회는 현대의 예술 문화에서 공예의 중요성을 알리고 재능과 비전을 지닌 공예가들의 작품을 선정해 미래를 위한 새로운 기준을 세워 나가겠다는 취지로 만들어졌다.

전시는 장인정신을 존중하고 전통·혁신·재료·창의성을 기반으로 탁월함, 예술성, 독창성이 뛰어난 현대 공예의 작가들의 작품을 심사해 시상하며, 결선작품 30점은 매년 세계 각국의 유명 박물관에서 전시된다.

2018년에는 영국 런던의 디자인박물관, 2019년에는 일본 도쿄(東京)의 소게츠 재단에서 열렸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열리지 못했고, 지난해에는 프랑스 파리 장식미술관에서 가상현실(VR) 전시회로 대체됐다. 

 

▲ 수상작가 정다혜의 섬유공예

 

▲ 수상작가 김민욱의 목공예

 

▲ 수상작가 정소윤의 섬유공예


서울공예박물관 최초로 국제전이기도 한 이번 전시에서는 116개국에서 3100여 명의 참여 작가 중 결선에 오른 작가 30인의 작품을 선보인다. 결선 작가는 지난 1월 25∼26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진행된 1차 심사에서 추려졌다. 이 중 한국 작가는 역대 최다인 7명이 포함됐다.

최종 우승자는 전시 개막 하루 전인 6월 30일에 선정 발표된다. 최종 심사를 위해 세계 각국의 공예·디자인·건축·저널리즘·예술비평·박물관 관련 전문가 13명과 외신기자들이 서울을 방문할 예정이다. 최종 우승자에게는 5만유로(약6800만원)가 수여된다.

올해 지원한 작품에서는 전 세계와 일맥상통하는 고대 기법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와 숙련도를 보여주었고, 다양한 소재를 조합해 공예의 전통과 역사성을 수행했으며 동시에 미래를 연결하는 공예의 현재성을 잘 나타내주었다. 또한 자연 세계와 자연 형태 속의 기하학 그리고 인류가 자연과 맺고 있는 관계에 대해 이야기하는 경향이 다분했다.

▲ 수상작가 김준수의 가죽공예

 

▲ 수상작가 하상욱의 도자공예

 

▲ 수상작가 정용진의 금속공예

 

서울공예박물관은 전 세계 공예인들의 이목이 집중되는 축제이자 경연의 장인 <로에베 재단 공예상> 전시에 맞춰 다양한 기획전시를 개최해 국내 공예의 발전상을 세계에 소개한다는 계획이다.

전시를 주관하는 김수정 서울공예박물관장은 “이번 전시를 통해 서울시민들이 세계적인 공예작품을 감상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국내 공예작가와 장인의 작품을 다채롭게 소개하는 기획전시를 준비해 우리 공예의 발전상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를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올해는 한국 공예가 7인이 선정돼 우리 공예 작가와 공예품의 수준을 해외 작가들과 비교해 볼 수 있으며 또한 2021 서울공예박물관 개관에 이어지는 전시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특별하다. 

 

7명의 한국 수상 작가인 김준수, 김민욱, 정다혜, 정명택, 정소윤, 정용진, 하상욱 등은 그간 왕성한 활동으로 국내에는 익히 알려진 작가들이지만, 이번 전시를 통해 국제적 작가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음을 확인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본다.

 

[ⓒ 우드플래닛.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D
유재형 기자 유재형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관련기사

[그릇단상] 스러질 줄 아는 그릇 단상2020.03.23
조선의 가구, 전통으로 현대를 말하다2018.03.01
국내 공예가 : 스튜디오 루, 작품 쌓는 남자2018.02.15
브랜드 오트오트 : 옻칠의 현대적 해석2019.01.10
우리 공예의 아름다움과 만나는 시간2019.04.24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