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는 건축 대지 면적 제한을 감안해 2층 구조의 집으로 설계를 하였으나 건물의 높이 때문에 배경이 되는 숲을 가리기에 변경했다. 단층 구조의 집을 자연 앞에 노출해야 한다는 도전에 직면했을 때, 노련한 건축가의 판단은 오히려 집안은 외부로부터 폐쇄적으로 만들되 대신 내부에서 자연과 함께 할 수 있도록 집중하자는 것이었다.
결과는 마치 정사각형 블록에 작은 구멍을 뚫어놓은 듯한 모양새와 그 구멍을 통해 중앙에 놓인 수경시설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소박함을 낳았다. 여섯 평의 작은 공간, 그 안에 들어서면 땅을 통해서 하늘이 보이고 바람을 느낄 수 있고, 나무의 흔들림을 볼 수 있는 겸손지덕의 자연관을 만난다.
유학시절 서양건축을 접목하라는 교육 보다는 전통미를 강조하는 배움이 오늘날 '한국인' 조병수를 낳았다는 고백처럼 전통적인 것들이 현대생활에 맞게 적용되고 활용될 때 '자연관’은 우리의 것이 되고, 또 '우리’라는 범주 속에 자연을 끌어들이고 맞이할 수 있는 것이다.
‘ㅁ’ 집은 시간의 켜를 열어 여린 꽃들과 빗물을 투영하고 바람의 집으로 남겨 사람의 흔적이 사라질 때쯤 이곳에 사람의 건축이 있었다는 사실조차 잊혀지도록 자연의 건물을 탈바꿈 시킬 것이다. 이것이 조병수가 땅을 건드리지 않고 짓는 이유가 될까. 'ㅁ’ 속에서 이루어지는 만나는 대화는 ‘소나기 내릴 때의 흙냄새’ 같은 것이다. 마당의 중요성을 강조한 그는 “아파트에서든, 개인주택에서든, 자라면서 한번 만들어진 감성은 더 추가되지 않아요. 그만큼 어릴 적 기억은 소중하죠.”라는 대답에서 얻듯 마당을 낼 것을 주문한다.
그 결과 불투수성의 절대 금이 가지 않는 20cm 두께의 콘크리트 석판 지붕이 생겼다. 건축가가 미리 준비했던 10개의 거대한 나무 기둥은 지붕을 떠받치는 용도로 5미터 간격을 두고 안뜰 안팎으로 지그재그를 그리며 놓여 공간의 통합을 나타내고 있다. 자연과 함께 집중적으로 할 수 있는 대화는 가로 세로 각각 7.5m로 건물 중앙에 뚫린 공간에서 시작된다.
이 작은 정사각형은 잡초와 현장에서 구한 바위로 장식한 수경시설이 차지한다. 'ㅁ’을 통해 보이는 하늘은 건축가의 풍모를 닮아 깨끗하고 아름답게 다듬어져 있다. 건물의 안뜰은 내부공간의 연장선에 있다.두 개의 접이식 유리문은 빛, 바람, 계절에 따라 변하는 연못과 자연의 소리를 그대로 받아들인다.
“부끄럼 없이 살다 갈 수 있다면 좋은 삶, 좋은 건축이 되지 않을까.” ‘ㅁ’은 공간의 근원을 헤아리는 열망이 담긴 공간이나 또 하나의 'ㅁ’은 자연을 두고 비운 자리이기에 조병수의 공식은 자연으로 돌아갈 무(無)의 공간을 창조한 것이나 진배없다.
사진제공 조병수건축연구소
[ⓒ 우드플래닛.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