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가구의 새로운 형식 제안
기능과 서사를 담은 가구전
![]() |
▲ 가구 사면의 조형이 각각 다른 송기두 가구 |
가구의 역할에 대해 고민한다. 식기를 받치거나, 물건을 넣어두거나, 책을 올려놓거나, 사람의 몸을 지탱하거나. 단지 이것뿐이라면 이 고민에 효용이 있을까.
흔히 쓰임이 부족한 물건을 무용하다 하지만 일상을 풍요롭게 만들어주는 건 쓰임이 아니라 감각에 가깝다. 손으로 양감과 질감을 느끼고, 눈으로 형태와 색을 보고, 공간 안에서 가구의 존재를 받아들이는 감각은 기능을 쓰임으로 한정 짓는 기존의 정의 안에서는 설명하기 어려운 것이다.
감각의 총체로서 자연과 건축은 이번 작업을 관통하는 두 줄기가 된다. 특히 둘 사이의 긴장감, 혹은 이질감. 상상해 보건대 자연 속에서 그 감각만을 느끼며 살아가던 선대의 인류에게 인공, 특히 건축은 거대한 감각적 충격을 가져다주었을 것이다. 불가침의 영역이었던 자연을 재단하고 쌓아 올린 인공의 구조물에 자연과는 다른 압도를 경험하지 않았을까. 도면의 완벽한 물질적 구현으로 서있는 직선의 구조물들. 건축이 직선의 세계라면 자연은 곡선의 세계다. 커다란 법칙을 전제하고 즉흥과 우연으로 세계를 만들어 나간다.
![]() |
▲ 옷걸이와 조명 |
![]() |
▲ 조형이 뛰어난 거울
|
![]() |
▲ 송기구 작가의 멀러링 스툴 |
전시된 가구들은 일종의 작은 건축으로 시작한다. 자연을 재단하고 쌓아 올리는 건축적 조형원리로부터 시작된 형태는 어느새 즉흥성에 기반한 자연발생적인 형태가 되고 다시 건축으로 돌아온다. 직선의 마디에서, 곡선의 변곡점에서 새로운 감각들이 생겨난다. 손끝에서, 눈에서, 공간 안에서 느껴지는 감각들. 건축의 구축과 자연의 발생 사이에서 생겨난 각각의 감각들은 순환하며 대립과 융화를 반복한다.
이 감각들 사이의 긴장감은 비일상적이다. 일상적이어서 무뎌진 감각들 사이에 비일상적인 감각이 종소리처럼 울려 다른 감각들을 깨운다. 비일상으로 다채롭고 풍요로워지는 일상. 가구가 주는 감각이 우리 삶을 좀 더 명징하게 해 줄 수 있다면 그것 또한 가구의 역할로 볼 수 있지 않을까. 고민 끝에 가구들을 만들었다. 이번 전시는 감각을 기능의 중요한 축으로 끌어올리려는 시도가 될 것이다.
글: 송기구(가구디자이너)
[ⓒ 우드플래닛.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