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13개 주요 광물 중 리튬·주석 등 8개, 특정국 의존도 50% 넘는다

비즈 / 강진희 기자 / 2023-11-08 12:59:28
마그네슘은 중국 84%, 텅스텐은 중국 65% 등 여전히 중국 의존도 높아

2022년 국내에서 수입한 13개 주요 광물의 수입액이 16조 5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리튬과 주석, 안티모니, 텅스텐을 비롯한 8개 광물의 수입 의존도가 5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노용호 국민의힘 의원이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제출받은 '2021~2022년 주요 광물 국가별 수입 현황' 자료에 따르면 리튬과 주석, 안티모니의 의존도가 1년 만에 상향된 것으로 나타났다.

리튬의 중국 의존도는 58%에서 64%, 주석의 인도네시아 의존도는 49%에서 57%, 안티모니의 중국 의존도는 64%에서 70%로 확대됐다. 또한 인의 베트남 의존도는 94%로 같았지만 두 번째 수입국인 인도는 3%에서 이듬해 중국 5%로 커졌다.

반면 의존도는 줄었지만 여전히 특정 국가에 절반 넘게 치우친 광물도 있었다. 니오븀은 베트남 91%, 마그네슘은 중국 84%, 텅스텐은 중국 65%, 희토류는 중국 50% 순으로 조사됐다.

노 의원은 "4개 광물 의존도가 심화됐고 8개 광물이 50% 이상 특정 국가에 의존하는 만큼 이를 완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라며 첨단산업에 필수적이니 광물 공급망을 다각·분산화를 위한 정책이 시급함을 지적했다.

아울러 국내 영월 상동광산의 텅스텐 등 주요 광물의 개발과 대체 방안의 필요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 우드플래닛.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D

관련기사

상동광산 텅스텐의 연계 산업 구축으로 강원도 경제에 지대한 변화 기대2023.10.15
한국목조건축협회, 우드하우스 에스토니아와 MOU 체결2023.10.16
CBI, 구보 인수…텅스텐 광산개발 관련 언론 반응 다양해2023.11.04
문경에서, 국유림 경영·관리 우수사례 경진대회 열어2023.11.06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