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국내에서 수입한 13개 주요 광물의 수입액이 16조 5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리튬과 주석, 안티모니, 텅스텐을 비롯한 8개 광물의 수입 의존도가 5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노용호 국민의힘 의원이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제출받은 '2021~2022년 주요 광물 국가별 수입 현황' 자료에 따르면 리튬과 주석, 안티모니의 의존도가 1년 만에 상향된 것으로 나타났다.
리튬의 중국 의존도는 58%에서 64%, 주석의 인도네시아 의존도는 49%에서 57%, 안티모니의 중국 의존도는 64%에서 70%로 확대됐다. 또한 인의 베트남 의존도는 94%로 같았지만 두 번째 수입국인 인도는 3%에서 이듬해 중국 5%로 커졌다.
반면 의존도는 줄었지만 여전히 특정 국가에 절반 넘게 치우친 광물도 있었다. 니오븀은 베트남 91%, 마그네슘은 중국 84%, 텅스텐은 중국 65%, 희토류는 중국 50% 순으로 조사됐다.
노 의원은 "4개 광물 의존도가 심화됐고 8개 광물이 50% 이상 특정 국가에 의존하는 만큼 이를 완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라며 첨단산업에 필수적이니 광물 공급망을 다각·분산화를 위한 정책이 시급함을 지적했다.
아울러 국내 영월 상동광산의 텅스텐 등 주요 광물의 개발과 대체 방안의 필요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 우드플래닛.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