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미술의 선구자 김구림의 대규모 개인전 개최

뉴스 / 김수정 기자 / 2023-08-24 10:11:43
비디오아트, 설치, 판화, 퍼포먼스, 회화 등 장르를 넘나드는 작품 230여 점
1950년대 후반 평면 추상부터 2020년대 <음과 양> 연작까지 총망라
8월 25일(금)부터 2024년 2월 12일(월)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 1980년대 후반 김구림 [사진 작가 제공]

 

국립현대미술관은 <김구림> 전을 8월 25일(금)부터 2024년 2월 12일(월)까지 서울관에서 개최한다.


김구림은 1950년대부터 다양한 매체, 장르, 주제를 넘나들며 예술의 최전선에서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한 실험미술의 선구자이다. 비디오아트, 설치, 판화, 퍼포먼스, 회화 등 미술의 범주에서뿐만 아니라 무용, 연극, 영화, 음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쳐왔다.

이번 전시에서는 한국 실험미술의 선구이자 총체 예술가로서 김구림의 미술사적 성과를 재확인하고, 새로운 담론과 연구를 지속 생성하는 현재진행형 작가로서 그의 행보를 살핀다. 

 

▲ 김구림, 124초의 의미, 1969, 단채널 비디오, 컬러, 무음, 10분.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김구림(b. 1936)은 경북 상주 출생으로 미술대학을 중퇴하고, 1959년 대구 공회당화랑에서《김구림 유화개인전》을 개최하며 본격적으로 작가 활동을 시작하였다. 1960년대에는 섬유회사에서 기획실장으로 근무하며 영화, 연극, 무용 등에 관하여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1960년대 말에는 ‘회화 68’, ‘AG’, ‘제4집단’등 예술집단 활동을 주도하며 한국 최초의 일렉트릭 아트, 메일 아트, 실험영화, 대지미술, 해프닝 등을 발표했다. 이후 1973-1975년 일본에 머물며 사물과 시간의 관계성을 오브제와 설치작품, 판화 등을 통해 탐구하였다.

1970년대 전위적인 작품들은 제7회 파리비엔날레(1971), 제12회 상파울루비엔날레(1973), 《김구림전》(도쿄 시로타 화랑, 1973), 제2회 국제 임팩트 아트 비디오-74(스위스 로잔, 1974) 등 해외 전시에서도 활발하게 소개되었다. 이후 1984년부터 미국에 머물며 상호모순적인 두 상태를 대비시키고, 나아가 합일에 이르게 하는‘음과 양’연작을 지속해서 선보였으며, 1986년 브루스 나우먼(Bruce Nauman)과 함께 《Artistic License》(갤러리 뉴욕, 1986) 등의 전시에 참여하며 활발하게 활동을 이어나갔다.

 

▲ 김구림, 문명, 여자, 돈, 필름 1969, 영상 1969-2016,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22분 10초.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이후 2000년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초대전 《현존과 흔적》을 개최하며 한국으로 돌아온 이후로도‘음과 양’은 김구림의 작품세계 전반을 관통하는 주제로 현재까지 지속해 나가고 있는 개념이다. 《A Bigger Splash Painting after Performance》(테이트 모던, 2012)에서 잭슨 폴록, 이브 클라인, 쿠사마 아요이, 앤디 워홀 등과 함께 그룹전에 참여하였고, 그의 1960-1970년대 전위예술의 선구적인 작품들은 미국 뉴욕 솔로몬 R. 구겐하임미술관, 영국 런던 테이트 미술관, 테이트 라이브러리 스페셜 컬렉션 등에 소장되어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서울관 6, 7전시실에 작가의 작품세계를 총망라하는 230여 점의 작품과 60여 점의 아카이브 자료가 전시되며 총체 예술가 김구림의 진면목을 확인할 수 있는 대규모 공연도 마련된다.

 

[ⓒ 우드플래닛.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D

관련기사

“무언가를 어떻게 사라지게 만들 수 있을 것인가?”... 아니쉬 카푸어 개인전 《Anish Kapoor》 개최2023.08.20
1억 원 그 이상의 가치, 나무시계2023.08.23
티크 거울의 질감2023.08.23
샬레(Challaye)家, 나혜석 프랑스 체류 시기 사진 기증2023.08.03
9월 예술로 가득찬 서울, 서울시 미술축제의 장 열어...‘키아프·프리즈 서울’ 연계 <서울아트위크> 9.1.~9.10. 개최2023.08.16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