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시장 컬렉터는 울트라컨템포러리 아티스트 작품 선호
샤라 휴즈, 로이 홀로웰, 에이버리 싱어, 하비에르 카예하 등 블루칩 작가 주목
지난 25일 아시아 최대 아트페어 ‘아트바젤 홍콩 2023’이 방문객 총 8만6천명, 거래액 규모만 1조원을 기록하며 성료했다.
아트바젤 홍콩은 지난 3년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열리지 못했지만, 이번 행사 세일즈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면서 홍콩은 아시아 미술 허브의 위상을 수성하게 됐다.
홍콩의 권위에 도전하고 있는 한국의 미술 시장 또한 급부상하고 있다. 올해 1월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가 발표한 ‘2022 미술시장 규모 추산 결과’에 따르면, 지난 9월에 열린 ‘키아프 서울’과 ‘프리즈 서울’의 영향으로 지난해 한국 미술시장이 사상 처음 1조원을 넘긴 것으로 집계됐다.
또 오는 7월 일본 ‘도쿄 겐다이’와 9월 한국 ‘키아프’ 등 아시아에서 대형 아트페어가 앞다퉈 개최할 예정으로, 아시아 시장을 향한 글로벌 갤러리와 컬렉터의 관심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미술과 사랑에 빠진 아시아 미술 컬렉터
아시아 시장이 떠오르면서, 자연스럽게 아시아가 사랑하는 아티스트도 주목 받고 있다. 아트 프라이스의 <아트마켓 2022> 보고서에 따르면, 아시아 미술 시장은40세 이하의 울트라 컨템포러리 아티스트에 큰 관심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 미술 시장에서는 현대미술과 울트라 컨템포러리 아티스트가 홍콩 미술품 경매 매출의 3분의 1 가량을 차지할 만큼 놀라운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데, 실제 홍콩은 지난 2년간 런던을 제치고 이 분야에서 세계 두 번째로 큰 시장으로 자리매김했다.
![]() |
▲ 샤라 휴즈(Shara Hughes) ⓒGalerie Magazine |
홍콩 미술 경매 시장에서 크게 재평가 받은 '로이 홀로웰'
로이 홀로웰은 1983년생으로 2016년 뉴욕서 연 첫 개인전 이후 폭발적인 주목을 받았다. 특히 홍콩의 사랑을 받는 작가로,그의 작품 'Lick Lick in Orange and Blue'(2015)는 2019년 크리스티 뉴욕 경매에서 137,500달러에 낙찰된 뒤 이후 2022년 소더비 홍콩 경매에서 963,500달러에 판매되며 크게 재평가 받기도 했다. 기하학적인 추상화로 눈길을 끈 로이 홀로웰은 2018년 파블로 피카소, 데이비 드호크니 등 유명 작가의 작품을 관리하는 세계적인 화랑페이스갤러리의 전속작가가 되면서 더욱 인기를 얻고 있다. 지난해 5월에는 서울 페이스 갤러리가 로이 홀로웰의 한국 첫 개인전 'Starting from 0'을 개최해 큰 호응을 얻었다.
![]() |
▲ 로이 홀로웰(Loie Hollowell) ⓒLoie Hollowell, Courtesy Pace Gallery |
순수한 매력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인기 '하비에르 카예하'
스페인 출신 작가 하비에르 카예하도 최근 한국, 일본, 홍콩, 대만 등 아시아권에서 특히 인기가 많은 작가다. 그의 작품에는 초롱초롱한 큰 눈을 가진 아이가 등장하는데, 반스나 유니클로 등 글로벌 패션 브랜드들과의 협업으로 대중에게 더 친숙하게 다가오고 있다. 2017년 아트바젤 홍콩을 통해 알려지면서 국내 MZ세대 미술 컬렉터들에게 사랑 받고 있으며, 지난해 5월 서울 옥션에서 국내 최초로 원화 경매를 진행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현재 크리스티, 소더비, 필립스 등 글로벌 시장에서도 활발히 거래되면서 낙찰가를 경신하고 있는 작가다.
[ⓒ 우드플래닛. 무단전재-재배포 금지]